과학유산 플랫폼
우리나라 전통 및 현대의 과학적 성취를 담고 과학유산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하는 것은 과학기술의 장기적 발전에 도움을 줄 표석입니다. 그러나 국가과학유산은 물리적 방식의 전시가 주를 이루고 있고, 상당수는 보존상태가 취약하여 실물 전시와 활용이 어렵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과학유산의 정보 및 창조적 표현 원천이 점차 디지털 형식으로 생산, 배포, 접근, 유지되고 있어 보전과 활용을 위해 기존 물리적 전시와 함께 디지털 방식으로의 전환도 고려되어야 할 시점입니다. 디지털 기술은 과학유산의 온라인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고, 오프라인 전시뿐만 아니라 온라인 전시서비스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가과학유산의 디지털 보전과 온·오프라인 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카이브와 활용서비스에 최적화된 웹플랫폼을 개발하였습니다. 즉 폐쇄형 행정망인 과학유산 아카이브플랫폼과 대국민 공개망인 과학유산 서비스플랫폼의 이원화된 구조로 설계하였습니다.

과학유산 아카이브플랫폼(비공개 행정망)
아카이브 플랫폼은 국가과학유산의 발굴, 등록, 조사, 활용, 관리, 보존에 대한 시계열 생애주기 정보를 전방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아카이브 자료 중 선별 과정을 통해 서비스 플랫폼으로 정보가 제공되며, 과학관 유관기관 간의 연계 서비스는 내부망인 아카이브 영역에서만 운영됩니다. 또한 전산화된 파일 관리와 유통에 특화된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연어 검색과 필터링을 통해 접근 편의성을 제공하며, 각 시계열 자료의 메타데이터와 디지털 파일의 통합 관리가 가능합니다.

과학유산 서비스플랫폼(비공개 행정망)
과학유산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국가과학유산에 대한 정보 획득과 온라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UI/UX를 설계하였습니다. 국가과학유산의 기본정보와 목록뿐만 아니라 다양한 테마콘텐츠(카드뉴스, 영상콘텐츠, 탐방·강연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랙션 콘텐츠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색재현 이미징, 반사율변환 이미징, 다중분광 이미징, X-선 CT, 3차원 스캐닝 등 최첨단 디지털 기술로 구축된 과학 콘텐츠를 사용자 주도적으로 온라인 체험이 가능합니다. 또한 관계시각화 서비스에서는 과학유산아카이브에 구축된 메타데이터 항목 중 활용서비스에 최적화된 메타데이터를 선별하여 모델링하였고, 사용자는 클러스터 형식의 시각화로 시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전시서비스뿐만 아니라 국가과학유산 중 유산적 가치가 높은 디지털 자료를 선정하는 디지털 과학유산 NFT(non-fungible token) 서비스를 기획하였습니다.
서비스
서비스
서비스
연구팀 소개
과학유산 플랫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과학문화전시 기반기술개발(2023∼2024년)’ R&D 연구(과제명: 국가과학유산의 온·오프라인 전시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빙 및 시맨틱 웹플랫폼 개발)로 수행되었습니다. 주관기관은 국립공주대학교(총괄책임자 조영훈)이며, 공동기관은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공동책임자 신영순), 위탁기관은 ㈜아키아카(위탁책임자 최광훈)입니다.